- 보체활성화의 렉틴경로는 만 노사 결합 렉틴에 의해 활성화된다
- 만 노사 결합 렉틴(MBL) 세균, 진균, 원생생물, 바이러스의 마노스를 함유하는 탄수화물에 결합하는 C형 렉틴, 급성기 단백
꽃다발 모양의 구조, 각 줄기는 3개의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로 만들어진 삼중나선
- 각 폴리펩타이드는 탄수화물인지 도메인을 갖고 합쳐서 ”꽃” 부위 구성
- 각각의 마노스 렉틴 분자가 5~6개 꽃을 가짐, 결과적으로 병원체 표면결합 부위가 15~18개임
- 만 노사 결합 렉틴이 병원체 표면에 결합하면 보체 활성의 렉틴 결로를 촉발함
- MBL은 또한 단핵구가 세균을 섭취하는 것을 촉진하는 옵소닌으로도 작용
- Toll 유사 수용체의 유전적 다양성은 질병에 대한 저항성 및 취약성과 관련이 있다
- 동종형 : 같은 유전자의 다른 대립유전자에 의해 부호화되는 단백
- 병원체의 표면 결정인자를 인지하는 Toll 유사 수용체는 유전 다형성으로 다양성을 지닌다
* 패혈성 쇼크
- 세균감염이(그람음성) 혈액으로 퍼져 전신감염을 일으키는 위중한 상태
- 간, 비장, 다른 기관 대식세포 활성화 TNF-α 방출
- 혈관 확장, 체액누출 초래 혈액 공급 교란, 콩팥, 심장, 폐등 손상
- 아미노산 299번 아스파라긴 가진 흔한 동 종형 패혈성쇼크에 저항성
- 아미노산 229번 글리신 대체되어 변이형을 가질 경우 취약성을 보임
- 형질세포야 수지상세포는 많은 양의 제1형 인터페론을 만드는 공장이다
병원체의 종류
- 수시로 인체에 침투하여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들도 있지만, 오랫동안 질병을 일으키지 않다가 체내의 방어가 약해지거나, 미생물이 ‘잘못된’ 장소로 들어가면 병을 일으키는 ‘기회감염병원체’도 존재한다
병원체의 4종류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 면역기관의 종류
편도선 & 인도 편도선, 림프샘, 흉선, 비장, 맹장, 골수
- 1차 림프 기관 : 림프구가 병원체에 반응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달하고 성숙하는 곳이다
- 골수 : B 세포 생성, 성숙, T 세포 생성
- 가슴샘 : T세포 성숙
태아의 간
- 2차 림프 기관 : 성숙 림프구가 침입한 병원체와 반응하도록 자극되는 곳
- 림프샘 : 림프관이 서로 연결되는 망의 분기점에 있으며, 혈관에서 계속 유출되는 세포외액을 구성하는 혈장을 수집한다
림프관 : 림프액으로 불리는 체액을 주로 흉관을 통하여 혈액에 되돌려준다
- 비장
- 혈액을 여과하는 림프 기관이다. 여과의 목적 중 하나는 손상되거나 오래된 적혈구를 제거하는 것이다
- 혈액으로 유입된 병원체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비장의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는 혈액 내의 미생물과 미생물 산물은 제거하고, 혈액을 통해 비장으로 유입되는 B세포와 T세포를 활성화한다.
적혈구를 검색하고 제거하는 적색속질과 적응면역을 제공하는 백혈구가 모이는 곳인 백색속질 두 가지 조직으로 구성
백색속질은 림프샘과 유사한데 차이점은 병원체와 림프구가 혈액을 통해 비장에 들어오고 나온다는 것이다
- 맹장
- 골수세포 분화되는 종류와 기능, 작용
과립구 : 세포질 내에 미생물을 죽이고 염증을 도와주는 반응성 물질들이 들어 있는 과립이 뚜렷한 세포, 다형핵백혈구
a. 호중구 :
ㄱ. 미생물의 포획, 섭취 살해에 특화 – 이러한 세포를 포식세포(파고 사이트)라고 부르는데 그중 호중구가 가장 많고 위협적
ㄴ. 내재 면역의 효과 세포로서 빠르게 동원되어 감염부위에 유입되며, 손상 조직에서 흔히 나타나는 무산소성 조건에서도 작동
ㄷ. 수명이 짧고 감염부위에 죽어서 여드름이나 종기를 만드는 고름을 형성한다
ㄹ. 산이나 염기성 염료 모두와 결합하지 않음
b. 호산구 : 기생충이나 기타 장내 기생충에 대한 방어, 산성인 에오신이라는 염료와 결합하는 염기성 물질을 가진다
c. 호염구 : 기생충에 대한 면역반응을 조절하긴 하는데 숫자가 워낙 적어 기여도는 잘 알려지지 않음, 염기성인 헤마톡실린이라는 염료와 결합하는 산성 물질을 가진다
2. 단핵구 -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a. 단핵구 : 혈액 내를 순환하는 백혈구, 과립구와 비교하여 더 크다, 조직에 정착하는 대식세포의 움직이는 전구세포, 혈액에서 조직으로 이동해 대식세포로 성숙하여 정착하게 된다
b. 대식세포 :
ㄱ. 포식작용
ㄴ. 조직 대식세포는 크고 불규칙적으로 생겼으며 종종 섭취한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많은 수의 소포를 가진 풍부한 세포질을 가진다
ㄷ. 몸속의 일반적인 청소 세포로 죽은 세포, 세포 잔해, 그리고 침입한 미생물들을 포식해 없애는 역할을 한다
ㄹ. 감염조직에 있으며 침입하는 미생물을 가장 먼저 감지하는 포식세포이다
ㅁ. 병원체에 대한 반응으로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호중구와 기타 백혈구들을 감염부위로 끌어들인다
c. 수지상세포
ㄱ. 별 모양으로 대식세포와 비슷한 특징을 가짐
ㄴ. 적응면역반응을 불러오는 세포 전령사 작용을 한다, 이때 감염조직에 머물던 수지상세포는 파괴되었거나 온전한 병원체를 가지고 조직을 떠나 적응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데 특화된 여러 림프 기관으로 이동한다
3. 비만세포 : 모든 결합조직에 존재하며, 감염부위에서 비만세포의 활성화와 탈과립은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재 면역의 중요한 작용
- 대부분의 국소적이고 병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수 일내게 사라지는 감염은 내재 면역을 통해 통제되고 제거된다
1. 병원체를 인지한다
병원체로 인해 변화가 일어난 세포 혹은 혈청단백 등과 결합하는 수용성 단백 혹은 세포표면수용체가 관여한다
2. 병원체를 살해, 제거하고, 파괴 능이 있는 효과가 전을 동원한다
효과가 전은 세균을 삼키고, 바이러스 감염 세포를 죽이며, 원생 동물성 기생충을 공격하고, 병원체를 분자 깃발로 표시하여 효과 세포를 돕거나 직접 공격하기도 하는 보체라는 일련의 혈청단백으로 이루어졌다
생물학